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16

HTTP의 특징

HTTP의 대표적인 특징들의대해 포스팅을 해보려한다. 위키피디아: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응답(request/response) 프로토콜이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가 HTTP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웹페이지(HTML)나 그림 정보를 요청하면, 서버는 이 요청에 응답하여 필요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 정보가 모니터와 같은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 HTTP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 무상태 프로토콜(스테이스리스), 비연결성 • HTTP 메시지 • 단순함, 확장 가능 1.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 Request Response 구조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대기 • 서버가 ..

네트워크+HTTP 2022.01.13

[프로그래머스,MYSQL] Level2: 중성화 여부 파악하기

문제분석 보호소의 동물이 저장된 테이블에서 중성화여부가 Neutered 와 Spayed 인 동물들을 조사한뒤, 맞으면 O 틀리면 X로 중상화 여부를 나타내는 문제다. 문제풀이 1 2 3 -- 코드를 입력하세요 SELECT ANIMAL_ID,NAME,IF(SEX_UPON_INTAKE regexp "^Neutered|^Spayed","O","X") from ANIMAL_INS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2가지 풀이법이존재한다. 첫번째론 IF문을 사용하는것이다. IF( 조건 , 참일때 ,거짓일때) 의 기능을 구현하는것이다. 조건문은 regexp 인 정규표현식으로 나타내었다. 정규표현식을 해석하자면 -> "Neutered로 시작하거나 Spayed로 시작한 단어라면" 이다. 1 2 3 4..

알고리즘/MYSQL 2022.01.12

[프로그래머스,MYSQL] Level2: ISNULL 처리하기

문제분석: 동물들의 데이터를 담는 ANIMAL_INS 테이블을 조회하여 그중에서 프로그래밍을 모르는 NULL인 동물을 "No name"을 대신 넣어야한다. MYSQL에선 IFNULL() 메소드로 NULL값을 특정 문자열로 바꿔넣는게가능하다. 문제풀이 : 1 2 3 -- 코드를 입력하세요 SELECT ANIMAL_TYPE,IFNULL(NAME,'No name')as NAME,SEX_UPON_INTAKE from ANIMAL_INS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IFNULL의 첫번째 파라미터로 NULL값이 존재하는 컬럼을 설정하고, 두번째 파라미터로 이름을 넣는다.

알고리즘/MYSQL 2022.01.12

네트워크 : TCP에 대하여

참조: https://www.inflearn.com/course/http-%EC%9B%B9-%EB%84%A4%ED%8A%B8%EC%9B%8C%ED%81%AC#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 인프런 | 강의 실무에 꼭 필요한 HTTP 핵심 기능과 올바른 HTTP API 설계 방법을 학습합니다., 웹 기술을 사용하는 개발자라면 누구나 OK!꼭 필요한 HTTP의 핵심을 알려드립니다. 📣 확인해주세요!본 강의는 자바 스 www.inflearn.com TCP에 대해 알아보기전에, 인터넷 프로토콜의 4계층에 먼저 알아보겠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 전송 계층 -> 인터넷 계층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순으로 애플리케이션이 전달하는 데이터를 감싸준뒤에 서버로 보낸다고 생각하면된다. 이번 포스팅은..

네트워크+HTTP 2022.01.09

네트워크 : IP에 관하여

참조: https://www.inflearn.com/course/http-%EC%9B%B9-%EB%84%A4%ED%8A%B8%EC%9B%8C%ED%81%AC#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 인프런 | 강의 실무에 꼭 필요한 HTTP 핵심 기능과 올바른 HTTP API 설계 방법을 학습합니다., 웹 기술을 사용하는 개발자라면 누구나 OK!꼭 필요한 HTTP의 핵심을 알려드립니다. 📣 확인해주세요!본 강의는 자바 스 www.inflearn.com 우리는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네트워크를 사용해 통신한다. 네이버, 구글을통해 검색 요청을 하는것도 네트워크가 하는일이다. 그렇다면 실제로 어떻게 네트워크가 우리의 요청을 처리할까?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요청을 보냈을때, 인터넷에 속하는 노드들을 거치고 ..

네트워크+HTTP 2022.01.09

스프링: 영속 컨텍스트 (Persistence Context)

영속 컨텍스트란? 엔티티매니저 (Entity Manager)가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을 말한다. 영속 컨텍스트는 2가지의 저장소가 존재한다. 1. 1차캐시 저장소 2. 쓰기지연 SQL 1차캐시 저장소 Entity 를 persist()를하면 그림과같이 1차 캐시에 저장된다. 만약, 여기서 find() 조회가 일어난다면 DB에서 조회를 하지않고, entityManager에있는 1차캐시에 조회를 실시한다. 조회할 데이터가 1차캐시에 없다면 DB에서 조회를한다. DB에서 조회를한 데이터를 1차캐시에 다시 저장해두고 반환을한다. -> 나중에 또 다시 같은데이터를 조회할때 1차캐시에서 바로 반환하기위함이다. ---> 이 특징때문에 같은 Entity를 조회해도 동일성이 보장이된다. 2. 쓰기 지연 SQL 저장소..

JPA 의 기초(CRUD) 다루어보기

시작하기에앞서서 : JPA를 다루기 앞서 사용할 JPA와 데이터베이스를 준비해야한다. 데이터베이스로는 가볍고 쓰기편한 H2데이터베이스를 사용했다. 1. 외부라이브러리 다운받기 Maven으로 생성할때 hibernate(JPA)와 h2 데이터베이스를 의존시키자. Gradle, Maven 둘다 start.spring.io 사이트를 통해서 JPA와 h2라이브러리를 추가해서 생성하면 편하다. https://start.spring.io/ 2. DB설정하기 Resources-> META-INF -> persistence.xml을 생성해서 설정을해줘야한다. 필수 속성은 Driver , user, password ,url 을 넣어주자. JPA-DB를 연결해줄 필수속성이 있어야 연결이된다. 5번째에 dialect 기능은 ..

자바/JPA 2022.01.07

스프링: 왜 JPA를 쓰는가?

JPA(Java Persistence API)란? Java의 ORM (객체 관계 매핑 Object Relation Mapping) 기술이다. JPA는 이제껏 개발자들이 힘들게 SQL을 작성하고, 객체와 DB간에 매핑과 설정을해주는걸 대신 처리해주는 기술이다. 이걸 통해, 마치 Collection에 데이터를 넣어놧다 조회하고 수정하는 객체지향다운 DB조작이 가능한셈이다. 이전에 JDBC를 이용하여 MYSQL과 연결할때 쓰던 코드다. 이렇게 복잡하고 긴 코드를 JPA가 대신 간편하게 설정해준다.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다른 패러다임을 가진다. 1. 상속 2. 연관관계 3. 데이터 타입 4. 데이터 식별 방법 상속의 문제 객체 상속 관계에서는 부모와 자식 관계란게 존재한다. 하지만, 데이터베이스엔 ..

자바/JPA 2022.01.05

[프로그래머스,MYSQL] Level2:입양 시각 구하기

1. 입양시간 중에 몇 시가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지 알아보려함. -> 0시~ 24시 각각 시간마다 나눠줘야함. 2. 9시~ 20시 까지만 확인하겠다. 3.각 시간대별로 입양이 몇건 발생했는지도 알아봐야함. -> count사용해야함. 4. 정렬하기 문제풀이: 1 2 3 4 5 SELECT HOUR(DATETIME) as HOUR,count(DATETIME) from ANiMAL_OUTS group by HOUR having Hour between 9 and 20 order by HOUR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우선, DATETIME을 HOUR로 시간만 뽑아 변환하였다. 그후, 뽑아온 Hour를 같은 시각끼리 그룹화 시킨뒤, 그룹화 조건인 Having을 이용하여 9시부터 20시..

알고리즘/MYSQL 2022.01.03

웹 스코프(Scope)와 프록시 기술

스코프 (Scope) 란?: 말그대로 범위 다. Bean에다가 스코프를 설정한다면, Bean이 영향을 끼치는 범위를 설정해준다. 스코프의 종류 Singleton (default) ProtoType request session aplication websoket ... 등등 존재한다. 싱글톤은 스코프 설정을안했을때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범위는 스프링 컨테이너 시작 ~ 스프링 컨테이너 종료 까지 미친다. 프로토타입 스코프는 싱글톤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싱글톤은 객체가 단 하나 생성되는걸 보장한다면, 프로토타입은 요청이 들어올때마다 새로운 객체를 생성한다. ->프로토타입 객체의 범위(Scope)는 스프링 컨테이너 시작~ 스프링 컨테이너 의존관계주입 까지 미친다. 하지만 이런 프로토타입은 실제론 잘 쓰이지 않..

반응형